meta data for this page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경영정보시스템특론-졸업고사-2012년09월 [2013/04/05 20:43] moonrepeat |
— (현재) | ||
---|---|---|---|
줄 1: | 줄 1: | ||
- | ====== 경영정보시스템특론-졸업고사-2012년09월 ====== | ||
- | ===== 1번 문제 & 답 ===== | ||
- | 다음 약자를 풀어서 쓰고 간단히 설명하시오. | ||
- | 1) DSS (Decision Support System) 의사결정 지원 시스템 | ||
- | : 컴퓨터 등의 단말 기기를 거쳐서 의사 결정자의 판단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의사 결정을 할 수 | ||
- |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 | ||
- | |||
- | 2) SCM (Supply Chain Management) 공급망 관리 | ||
- | : 공급 업체와 회사의 관계를 관리 | ||
- | 주문, 생산, 재고 대장, 제품과 서비스의 출고 등의 정보를 공유한다. | ||
- | SCM 의 목적은 최소의 시간과 최저의 비용으로 정확한 수량의 물건이 목적지에 도달하도록 하는 것이다. | ||
- | : 불확실성이 높은 시장변화에 고객, 소매상, 도매상, 제조업 그리고 부품, 자재 공급업자 등으로 이루어진 Supply Chain | ||
- | 전체를 기민하게 대응시켜 전체최적화를 도모하는 것 | ||
- | |||
- | SCM은 기업에서 생산·유통 등 모든 공급망 단계를 최적화해 수요자가 원하는 제품을 원하는 시간과 장소에 제공하는 '공급망 관리'를 뜻한다. | ||
- | SCM은 부품 공급업체와 생산업체 그리고 고객에 이르기까지 거래관계에 있는 기업들간 IT를 이용한 실시간 정보공유를 통해 시장이나 수요자들의 요구에 기민하게 | ||
- | 대응토록 지원하는 것이다. | ||
- | 세계적으로 선도적 위치에 있는 제조업체, 물류업체, 유통업체들은 SCM을 통해 거래선들과 긴밀하게 협력함으로써 그 이익을 훨씬 더 극대화하고 있다. | ||
- | SCM의 고도화는 공급자관계관리(SRM), 제품주기관리(PLM), 성과측정지표(BSC), 능률원가측정(ABC)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기업애플리케이션통합(EAI) 및 | ||
- | 기업포털(EP)작업에 연계함으로써 협력사들과의 총체적인 협업체계를 구현하는데 목적이 있다. | ||
- | 그 저변에는 전사데이터웨어하우스(EDW), 초대형 서버, 전사자원관리(ERP), 고객관계관리(CRM) 등이 자리잡는다. | ||
- | |||
- | 3)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 관리 | ||
- | : 회사와 | ||
- | : 기업 전체를 경영자원의 효과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이고 계획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의 효율화(생산성의 극대화)를 | ||
- | 기하기 위한 수단 | ||
- | 쉽게 말해 정보의 통합을 위해 기업의 모든 자원을 최적으로 관리하자는 개념으로 기업자원관리 혹은 업무통합관리라고 | ||
- | 볼 수 있다. 좁은 의미에서는 통합적인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를 추축해 회사의 자재, 회계, 구매, 생산, 판매, 인사 등 모든 | ||
- | 업무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자동 조절해주는 통합정보 시스템을 뜻한다. 기업 전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관리, | ||
- | 경영 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정보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빠르고 투명한 업무처리실 | ||
- | |||
- | 기업 전체를 경영자원의 효과적 이용이라는 관점에서 통합적으로 관리하고 경영의 효율화를 기하기 위한 수단이다. 쉽게 말해 정보의 통합을 위해 기업의 모든 자원을 | ||
- | 최적으로 관리하자는 개념으로 기업자원관리 혹은 업무 통합관리라고 볼 수 있다. | ||
- | 좁은 의미에서는 통합적인 컴퓨터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 회사의 자금, 회계, 구매, 생산, 판매 등 모든 업무의 흐름을 효율적으로 자동 조절해주는 전산 시스템을 | ||
- | 뜻하기도 한다. | ||
- | 기업 전반의 업무 프로세스를 통합적으로 관리, 경영상태를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정보를 공유하게 함으로써 빠르고 투명한 업무처리의 실현을 목적으로 한다. | ||
- | |||
- | 4) CRM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 고객 관계 관리 | ||
- | : 고객과 관련된 판매, 마케팅, 서비스 부문의 모든 Business process 를 조정하는 정보를 제공해 수익, 고객만족, 고객 유지를 | ||
- | 최적화 하는 시스템이다. 회사의 고객 관련 프로세스를 통합하고 여러 통신 채널에서 고객 정보를 통합함. | ||
- | 고객과 관련된 기업의 내·외부 자료를 분석, 통합하여 고객 특성에 기초한 마케팅 활동을 계획하고, 지원하며, 평가하는 과정 | ||
- | |||
- | 흔히 'CRM'이라고 한다. CRM은 Customer Relationship Management의 약자. | ||
- | 기업이 고객과 관련된 내외부 자료를 분석·통합해 고객 중심 자원을 극대화하고 이를 토대로 고객특성에 맞게 마케팅 활동을 계획·지원·평가하는 과정이다. | ||
- | CRM은 최근에 등장한 데이터베이스 마케팅(DB marketing)의 일대일 마케팅(One-to-One marketing), 관계마케팅(Relationship marketing)에서 진화한 요소들을 | ||
- | 기반으로 등장하게 되었다. | ||
- | 고객데이터의 세분화를 실시하여 신규고객획득, 우수고객 유지, 고객가치증진, 잠재고객 활성화, 평생고객화와 같은 사이클을 통하여 고객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고 | ||
- | 유도한다. | ||
- | |||
- | 기존 마케팅이 단발적인 마케팅 전술이라면 CRM은 고객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하면서 '한 번 고객은 평생고객'이 될수 있는 기회를 만들며, 평생고객화를 통해 | ||
- | 고객의 가치를 극대화하는 것. | ||
- | CRM은 고객의 정보, 즉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고객을 세부적으로 분류하여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마케팅 전략을 개발하는 경영전반에 걸친 관리체계며, 이를 | ||
- | 정보기술이 밑받침돼 구성된다. | ||
- | CRM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고객 통합 데이터베이스(DB)가 구축돼야 하고, 구축된 DB로 고객 특성(구매패턴·취향 등)을 분석하고 고객 개개인의 행동을 예측해 다양한 | ||
- | 마케팅 채널과 연계돼야 한다. | ||
- | 과거 은행·증권 등 금융 오프라인 기업들이 컴퓨터응용기술로 가입자 신상명세, 거래내역 등을 데이터화해 콜센터를 구축하는 등에 많이 적용했으나 최근 회원관리가 | ||
- | 생명인 닷컴기업들이 가입자 확보를 위해 서둘러 CRM을 도입하고 있다. | ||
- | |||
- | 5) KMS (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 관리/경영 시스템 | ||
- | : 지식의 획득, 저장, 분배, 적용, 지식창출, 통합을 위한 process 를 지원하는 시스템. | ||
- | 회사 내에 있는 내부 지식과 경험을 수집하여 직원이 사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 주고 외부 지식의 소스에 연결시켜 준다. | ||
- | : 조직 내 지식자원의 가치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통합적인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정보기술시스템 | ||
- | |||
- | Knowledge Management System. 지식경영시스템이라고도 한다. | ||
- | 지식관리시스템은 조직 내 지식자원의 가치를 극대화 하기 위하여 통합적인 지식관리 프로세스를 지원하는 정보기술시스템이다. | ||
- | 즉 직원들이 입력한 다양한 정보를 체계적으로 정리, 전사원들에게 유통시켜 업무에 활용토록 하는 정보관리 인프라로, 첨단 정보 기술의 조합을 통해 조직내에 | ||
- | 축적되는 각종 지식과 노하우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이를 상호 공유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목표다. | ||
- | 지식관리시스템을 이용하면 개인이나 조직이 보유한 비정형화된 정보를 일정한 데이터 베이스에 보관하였다가 필요한 경우 기업내 다른 사람들이 언제든지 활용할 수 | ||
- | 있다. 따라서 어떤 지식을 보유한 개인이 직장을 옮길 경우에도 기업으로서는 별 문제없이 업무를 이어나갈 수 있다. | ||
- | 지식관리시스템은 조직구성원의 지식자산에 대한 자세, 조직의 지식 평가/보상 체계, 지식공유 문화 등 조직차원의 인프라와 통신 네트웍, 하드웨어, 각종 소프트웨어 및 | ||
- | 도구 등 정보기술 차원의 인프라를 기본 전제로 하고 있다. | ||
- | 즉 전자문서관리시스템(EDMS), 인트라넷,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검색엔진, 개인정보관리 등기존 정보시스템의 연계를 통해 종합적인 솔루션으로 설계, | ||
- | 구축된 것이 지식관리시스템이다. | ||
- | |||
- | ---- | ||
- | * [[부산대학교 산업공학 산업대학원]] | ||
- | * [[경영정보시스템특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