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data for this page
  •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차이 보기로 링크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이전 판
생산시스템공학특론-중간고사 [2012/09/09 14:53]
moonrepeat [1번 문제]
— (현재)
줄 1: 줄 1:
-====== 생산시스템특론-중간고사 ====== 
-===== 1번 문제 ===== 
- ​(10점) 다음의 각 약어의 Full Name을 영어로 말하고 한글로 의미를 설멸하시오(각 1점) 
  
-|  약어 ​ |  Full Name  |  의 미  | 
-|[예][[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컴퓨터통합생산]] | 
-|[[MRP]] | | | 
-|[[FMS]] | | | 
-|[[QFD]] | | | 
-|[[CAE]] | | | 
-|[[ERP]] | | | 
-|[[RTE]] | | | 
-|[[CPC]] | | | 
-|[[MES]] | | | 
-|[[POP]] | | | 
-|[[CPM]] | | | 
- 
----- 
-|  약어 ​ |  Full Name  |  의 미  | 
-|[예][[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컴퓨터통합생산]] |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자재소요계획]] | 
-|[[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유연 생산 시스템]] |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품질기능전개]] |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컴퓨터 활용 엔지니어링]] |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 
-|[[RTE]] |[[Real-Time Enterprise]] |[[실시간 기업]] | 
-|[[CPC]] |[[Collaborative Production Commerce]] |[[협업제품상거래]] |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생산 관리 시스템]] | 
-|[[POP]] |[[Point of Production]] |생산시점(관리시스템) | 
-|[[CPM]] |[[Collaborative process modeling]] |협업 프로세스 모델링 | 
-===== 2번 문제 & 답 ===== 
- ​(10점) 시스템을 특성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할 경우, 다음 용어를 알맞은 빈 칸에 채우시오. 
-  * 활용 용어 : Continuous-state,​ Time-varying,​ Dynamic, Discrete-time,​ Stochastic, Event-driven,​ Time-invariant,​ Continuous-time,​ Linear, Discrete-state (총 10개) 
-{{:​생산시스템공학특론:​p_middle_2.png?​600|}} 
- 
----- 
-{{:​생산시스템공학특론:​p_middle_2-a.png?​600|}} 
-===== 3번 문제 ===== 
- ​(15점) SFCS의 Control Architecture 중 Hierarchical Control Architecture(HCA)와 Distributed Control Architecture(DCA)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 |  장점 ​ |  단점 ​ | 
-|  HCA  |  |  | 
-|  DCA  |  |  | 
-===== 4번 문제 & 답 ===== 
- ​(15점) Function Architecture의 Scheduling Function과 관련해 다음 물음에 답하라. 
- 
- (1) 다음 그림과 같은 상황에서 Part4의 작업이 m4에서 이제 막 끝났을 경우, Part4의 그 다음 이동지점은 어느 곳이 되는 것이 좋은지를 말하고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시오(5점) 
- 
- (2) 현재 시점 이후, 모든 Part에 대한 작업 시간이 충분히 길다고 가정할 경우, 모든 기계가 Busy 상태가 될 때까지 로봇은 어떤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설명하시오. 즉, 어떤 Part를 어디에서 어디로 옯겨야 하는지를 순서대로 밝히시오(5점). 
- 
- (3) 모든 기계가 Busy 상태가 되었을 경우 각 기계 m1, m2, m3, m4에서 처리되고 있는 Part가 각각 무엇인지를 밝히시오(5점). 
- 
-{{:​생산시스템공학특론:​p_middle_4.png?​600|}} 
- 
----- 
- (1) Machine 3으로 가는 것이 좋다. 현재 Part 4는 m2와 m3의 작업이 필요한데 m2는 Part 3를 가공중에 있고 m3는 이제 막 Part 2의 가공이 끝난 상황이기 때문이다. 
- 
- (2) 
-  - Part 2 : m3 → m1으로 이동 
-  - Part 3 : m4 → m3으로 이동 
-  - Part 1 : Loading Station → m4로 이동 
- 
- (3) 
-  - m1 : Part 2 
-  - m2 : Part 3 
-  - m3 : Part 4 
-  - m4 : Part 1 
-===== 5번 문제 ===== 
- (1) [[IDEF0]]의 [[ICOM]]에 대해 설명하시오(5점). 
- 
- (2) Modeling을 수행하는 동안 반드시 유지해야 할 세가지 항목이 무엇인지 말하고 각각의 의미를 간단히 설명하시오(5점). 
- 
- (3) [[IDEF3]] Modeling에서 사용되는 Junction을 타입 및 종류에 따라 설명하시오(5점). 
- 
- (4) [[IDEF0]] 모델링을 하던 중 "​Process Material Requests"​라는 A-0의 Activity를 Decomposition 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모델이 나왔다. 이를 활용하여 원래 A-0 모델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히시오(10점). 
- 
-{{:​생산시스템공학특론:​p_middle_5.png?​800|}} 
- 
-===== 6번 문제 ===== 
- ​(25점) 갑자기 돈이 필요하여 부산대학교 정문에 위치한 ATM(현금지급기)을 이용하여 돈을 인출 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하고자 하는 은행계좌의 통장에는 충분한 액수의 돈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모델링과 관련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1) ATM의 기능을 [[IDEF0]]를 활용하여 모델링 하시오. A-0 모델과 A0 모델을 각각 제시하되 부가적으로 가정할 사항이 있으면 제시하시오(15점). [참고: A0 모델은 A-0 모델을 한 번 Decomposition한 모델임] 
- 
- (2) ATM을 이용하여 원하는 금액만큼의 돈을 찾는 프로세스를 Process-centered view 측면에서 [[IDEF3]]로 모델링 하시오. 모델에 표현되지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설명할 내용이 있으면 자유롭게 기술하시오(10점). 
- 
----- 
-  * [[산업공학 산업대학원]] 
-  * [[생산시스템공학특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