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data for this page
차이
문서의 선택한 두 판 사이의 차이를 보여줍니다.
양쪽 이전 판 이전 판 다음 판 | 이전 판 | ||
생산시스템공학특론-중간고사 [2012/09/16 15:32] moonrepeat |
— (현재) | ||
---|---|---|---|
줄 1: | 줄 1: | ||
- | ====== 생산시스템특론-중간고사 ====== | ||
- | ===== 2012년 1학기 생산시스템특론-중간고사 ===== | ||
- | ==== 1번 문제 & 답 ==== | ||
- | (10점) 다음의 각 약어의 Full Name을 영어로 말하고 한글로 의미를 설멸하시오(각 1점) | ||
- | | 약어 | Full Name | 의 미 | | ||
- | |[예][[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컴퓨터 통합 생산]] | | ||
- | |[[MRP]] | | | | ||
- | |[[FMS]] | | | | ||
- | |[[QFD]] | | | | ||
- | |[[CAE]] | | | | ||
- | |[[ERP]] | | | | ||
- | |[[RTE]] | | | | ||
- | |[[CPC]] | | | | ||
- | |[[MES]] | | | | ||
- | |[[POP]] | | | | ||
- | |[[CPM]] | | | | ||
- | |||
- | ---- | ||
- | | 약어 | Full Name | 의 미 | | ||
- | |[[CIM]] |[[Computer Integrated Manufacturing]] |[[컴퓨터 통합 생산]] | | ||
- | |[[MRP]] |[[Material Requirements Planning]] |[[자재소요계획]] | | ||
- | |[[FMS]] |[[Flexible Manufacturing System]] |[[유연 생산 시스템]] | | ||
- | |[[QFD]] |[[Quality Function Deployment]] |[[품질기능전개]] | | ||
- | |[[CAE]] |[[Computer Aided Engineering]] |[[컴퓨터 지원 엔지니어링]] | | ||
- | |[[ERP]] |[[Enterprise Resource Planning]] |[[전사적 자원관리]] | | ||
- | |[[RTE]] |[[Real-Time Enterprise]] |[[실시간 기업 경영]] | | ||
- | |[[CPC]] |[[Collaborative Production Commerce]] |[[협업제품상거래]] | | ||
- | |[[MES]] |[[Manufacturing Execution System]] |[[생산 관리 시스템]] | | ||
- | |[[POP]] |[[Point of Production]] |[[생산 시점 관리시스템]] | | ||
- | |[[CPM]] |[[Collaborative Process Modeling]] |협업 프로세스 모델링 | | ||
- | ==== 2번 문제 & 답 ==== | ||
- | (10점) 시스템을 특성에 따라 아래와 같이 분류할 경우, 다음 용어를 알맞은 빈 칸에 채우시오. | ||
- | * 활용 용어 : Continuous-state, Time-varying, Dynamic, Discrete-time, Stochastic, Event-driven, Time-invariant, Continuous-time, Linear, Discrete-state (총 10개) | ||
- | {{:생산시스템공학특론:p_middle_2.png?600|}} | ||
- | |||
- | ---- | ||
- | {{:생산시스템공학특론:p_middle_2-a.png?600|}} | ||
- | ===== 3번 문제 & 답 ===== | ||
- | (15점) SFCS의 Control Architecture 중 Hierarchical Control Architecture(HCA)와 Distributed Control Architecture(DCA)의 장단점을 비교 설명하시오. | ||
- | |||
- | | | 장점 | 단점 | | ||
- | | HCA | | | | ||
- | | DCA | | | | ||
- | |||
- | ---- | ||
- | | | 장점 | 단점 | | ||
- | | HCA | - 이해가 쉽고 복잡성이 감소함\\ - 계층제의 모듈성에 따라 제어 소프트웨어 변경이 쉬움\\ - 타이트한 주종 커플링에 따른 빠른 반응속도\\ - 전체 최적화 가능 | - 빠른 SPC 개발이 어려움\\ - Fault tolerance가 낮음\\ - 현장 레이아웃에 영향을 많이 받음\\ (기기 하나 추가하면 모든 레벨에 영향을 줌) | | ||
- | | DCA |- 완전한 현장자치\\ - 모듈성강화, 커플링 감소에 따른 SW 복잡성 감소\\ - Reconfigurability & Scalability 쉬움\\ (plug & produce)\\ - 개념상으로 가장 효율적 |- 제어관련 많은 기술적 한계가 있음\\ - 커뮤니케이션, 프로토콜, 동작시스템 표준 없음\\ - 전체 최적화를 이루기 어려움\\ - 네트워크 성능 요구치가 높음\\ - 시스템 형태 예측이 어려움\\ - 현실적으로 실행하기 가장 어려움 | | ||
- | |||
- | |||
- | ==== 4번 문제 & 답 ==== | ||
- | (15점) Function Architecture의 Scheduling Function과 관련해 다음 물음에 답하라. | ||
- | |||
- | (1) 다음 그림과 같은 상황에서 Part4의 작업이 m4에서 이제 막 끝났을 경우, Part4의 그 다음 이동지점은 어느 곳이 되는 것이 좋은지를 말하고 그 이유를 간단히 설명하시오(5점) | ||
- | |||
- | (2) 현재 시점 이후, 모든 Part에 대한 작업 시간이 충분히 길다고 가정할 경우, 모든 기계가 Busy 상태가 될 때까지 로봇은 어떤 작업을 수행해야 하는지를 설명하시오. 즉, 어떤 Part를 어디에서 어디로 옯겨야 하는지를 순서대로 밝히시오(5점). | ||
- | |||
- | (3) 모든 기계가 Busy 상태가 되었을 경우 각 기계 m1, m2, m3, m4에서 처리되고 있는 Part가 각각 무엇인지를 밝히시오(5점). | ||
- | |||
- | {{:생산시스템공학특론:p_middle_4.png?600|}} | ||
- | |||
- | ---- | ||
- | (1) Machine 3으로 가는 것이 좋다. 현재 Part 4는 m2와 m3의 작업이 필요한데 m2는 Part 3를 가공중에 있고 m3는 이제 막 Part 2의 가공이 끝난 상황이기 때문이다. | ||
- | |||
- | (2) | ||
- | - Part 2 : m3 → m1으로 이동 | ||
- | - Part 3 : m4 → m3으로 이동 | ||
- | - Part 1 : Loading Station → m4로 이동 | ||
- | |||
- | (3) | ||
- | - m1 : Part 2 | ||
- | - m2 : Part 3 | ||
- | - m3 : Part 4 | ||
- | - m4 : Part 1 | ||
- | ==== 5번 문제 ==== | ||
- | (1) [[IDEF0]]의 [[ICOM]]에 대해 설명하시오(5점). | ||
- | |||
- | (2) Modeling을 수행하는 동안 반드시 유지해야 할 세가지 항목이 무엇인지 말하고 각각의 의미를 간단히 설명하시오(5점). | ||
- | |||
- | (3) [[IDEF3]] Modeling에서 사용되는 Junction을 타입 및 종류에 따라 설명하시오(5점). | ||
- | |||
- | (4) [[IDEF0]] 모델링을 하던 중 "Process Material Requests"라는 A-0의 Activity를 Decomposition 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모델이 나왔다. 이를 활용하여 원래 A-0 모델이 무엇이었는지를 밝히시오(10점). | ||
- | |||
- | {{:생산시스템공학특론:p_middle_5.png?800|}} | ||
- | |||
- | ---- | ||
- | (1) | ||
- | * I : Input: 기능(function)에 의해 변화되는 사물. Input이 없는 Activity 가 있을 수도 있다. Ex) 총알 | ||
- | * C : Control(required): Activity가 발생되도록 하는 기능을 제어하는 조건. 필수적으로 있어함. Component가 input 인지 control 인지 헷갈리면 control로 할 것 ex) 방아쇠 당기기 | ||
- | * O : Output(required): 기능에 의해 생산되는 사물 ex)발사된 빠른 총알 | ||
- | * M : Mechanisms: Activity 수행의 주체가 되는 사람, 기계, 시스템 ex) 총 또는 보편타당한 이론 ex) 만유인력의 법칙 | ||
- | |||
- | (2) | ||
- | * Purpose(objective): 모델이 구성되는 이유 | ||
- | * Viewpoint(Bias): 모델링이 의도하는 커뮤니케이션의 목적을 수립, 이 모델이 어떻게 사용될지를 명시 | ||
- | * Contact(subject): 모델의 수제를 수립, 주제의 범위 | ||
- | |||
- | (3) | ||
- | ==== 6번 문제 ==== | ||
- | (25점) 갑자기 돈이 필요하여 부산대학교 정문에 위치한 ATM(현금지급기)을 이용하여 돈을 인출 하고자 한다. 이때 사용하고자 하는 은행계좌의 통장에는 충분한 액수의 돈이 있다고 가정할 경우 모델링과 관련해 다음 물음에 답하시오. | ||
- | |||
- | (1) ATM의 기능을 [[IDEF0]]를 활용하여 모델링 하시오. A-0 모델과 A0 모델을 각각 제시하되 부가적으로 가정할 사항이 있으면 제시하시오(15점). [참고: A0 모델은 A-0 모델을 한 번 Decomposition한 모델임] | ||
- | |||
- | (2) ATM을 이용하여 원하는 금액만큼의 돈을 찾는 프로세스를 Process-centered view 측면에서 [[IDEF3]]로 모델링 하시오. 모델에 표현되지 않았으나 추가적으로 설명할 내용이 있으면 자유롭게 기술하시오(10점). | ||
- | |||
- | ---- | ||
- | * [[산업공학 산업대학원]] | ||
- | * [[생산시스템공학특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