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X Bar 관리도 ======
===== 정의 =====
===== 중심선 및 관리한계선 =====
만약 [[공정]]의 [[평균]] \mu와 [[공정]]의 [[표준편차]] \sigma 를 알 경우 \overline{X} 관리도의 [[중심선]] 및 [[관리한계선]]은 아래와 같다.
* UCL = \mu + 3 \cdot \frac{\sigma}{\sqrt{n}} = \mu + A \cdot \sigma
* CL = \mu
* LCL = \mu - 3 \cdot \frac{\sigma}{\sqrt{n}} = \mu - A \cdot \sigma
단, [[관리도 계수]] $A = \frac{3}{\sqrt{n}}$이다. ([[관리도 계수표 (KS A 3201)]]참조)
----
만약 [[공정]]의 [[평균]] \mu와 [[공정]]의 [[표준편차]] \sigma 를 모르는 경우에는 예비표본으로 부터 추정한 값을 이용하여 \overline{X} 관리도의 [[중심선]] 및 [[관리한계선]]을 아래와 같이 구한다.
공정의 [[평균]] \mu 의 [[추정치]]로 \overline{\overline{X}}를 이용
공정의 [[표준편차]] \sigma 의 [[추정치]]로 \overline{R} / d_{2}를 이용시
* UCL = \overline{\overline{X}} + \frac{3}{\sqrt{n} \cdot d_{2}} \cdot \overline{R} = \overline{\overline{X}} + A_{2} \cdot \overline{R}
* CL = \overline{\overline{X}}
* LCL = \overline{\overline{X}} - \frac{3}{\sqrt{n} \cdot d_{2}} \cdot \overline{R} = \overline{\overline{X}} - A_{2} \cdot \overline{R}
공정의 [[평균]] \mu의 [[추정치]]로 \overline{\overline{X}} 를 이용
공정의 [[표준편차]] \sigma의 [[추정치]]로 \overline{s} / c_{4} 를 이용시
* UCL = \overline{\overline{X}} + \frac{3}{\sqrt{n} \cdot c_{4}} \cdot \overline{s} = \overline{\overline{X}} + A_{3} \cdot \overline{s}
* CL = \overline{\overline{X}}
* LCL = \overline{\overline{X}} - \frac{3}{\sqrt{n} \cdot c_{4}} \cdot \overline{s} = \overline{\overline{X}} - A_{3} \cdot \overline{s}
단, [[관리도 계수]] A_{2} = \frac{3}{\sqrt{n} \cdot d_{2}}, A_{3} = \frac{3}{\sqrt{n} \cdot c_{4}}이다. ([[관리도 계수표 (KS A 3201)]]참조)
===== 예제1 =====
아래 표는 어떠한 기계부품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5개의 [[부분군]]으로 이루어진 20개의 [[표본]]을 추출하여 만든 자료이다. 현재 이 자료를 바탕으로 \bar{X}-R [[관리도]]의 [[관리한계선]]을 구하려고 한다.
(현재 기계부품 제조공정상의 실질적인 [[평균]]과 [[표준편차]]는 미지이다.)
^ [[부분군]] 번호 ^ 측정치 ^^^^^ 합계 ^ [[평균]] ^ [[범위]] ^
^::: ^ x_{1} ^ x_{2} ^ x_{3} ^ x_{4} ^ x_{5} ^ \Sigma x ^ \overline{x} ^ R ^
^ 1 | 57.73 | 57.77 | 57.98 | 57.21 | 57.82 | 288.51 | 57.702 | 0.77 |
^ 2 | 57.68 | 57.75 | 57.88 | 57.89 | 57.74 | 288.94 | 57.788 | 0.21 |
^ 3 | 57.62 | 57.65 | 57.72 | 57.75 | 57.71 | 288.45 | 57.690 | 0.13 |
^ 4 | 57.31 | 57.30 | 57.37 | 57.93 | 57.58 | 287.49 | 57.498 | 0.63 |
^ 5 | 57.58 | 57.71 | 57.21 | 57.63 | 57.37 | 287.50 | 57.500 | 0.50 |
^ 6 | 57.41 | 57.78 | 57.51 | 57.73 | 57.68 | 288.11 | 57.622 | 0.37 |
^ 7 | 57.29 | 57.52 | 57.99 | 57.63 | 57.42 | 287.85 | 57.570 | 0.70 |
^ 8 | 57.97 | 57.85 | 57.88 | 57.72 | 57.47 | 288.89 | 57.778 | 0.50 |
^ 9 | 57.64 | 57.51 | 57.56 | 57.60 | 57.72 | 288.03 | 57.606 | 0.21 |
^ 10 | 57.77 | 57.89 | 57.50 | 57.73 | 57.68 | 288.57 | 57.714 | 0.39 |
^ 11 | 57.61 | 57.57 | 57.39 | 57.49 | 57.48 | 287.54 | 57.508 | 0.22 |
^ 12 | 57.13 | 57.26 | 57.14 | 57.02 | 57.32 | 285.87 | 57.174 | 0.30 |
^ 13 | 57.41 | 57.53 | 57.69 | 57.68 | 57.62 | 287.93 | 57.586 | 0.28 |
^ 14 | 57.41 | 57.31 | 57.62 | 57.35 | 57.32 | 287.01 | 57.402 | 0.31 |
^ 15 | 57.48 | 57.83 | 57.66 | 57.87 | 57.70 | 288.54 | 57.708 | 0.39 |
^ 16 | 57.75 | 57.85 | 57.62 | 57.65 | 57.61 | 288.48 | 57.696 | 0.24 |
^ 17 | 57.70 | 57.78 | 57.73 | 57.81 | 57.75 | 288.77 | 57.754 | 0.11 |
^ 18 | 57.41 | 57.58 | 57.57 | 57.49 | 57.40 | 287.45 | 57.490 | 0.18 |
^ 19 | 57.88 | 57.51 | 57.75 | 57.67 | 57.64 | 288.45 | 57.690 | 0.37 |
^ 20 | 57.79 | 57.52 | 57.67 | 57.63 | 57.52 | 288.13 | 57.626 | 0.27 |
주어진 자료에서 [[공정]] [[평균]]에 대한 [[관리도]]의 [[중심선]] [[CL]]은 각 표본의 평균의 평균인 \overline{\overline{x}}이다.
* CL = \overline{\overline{x}} = \frac{\sum_{i=1}^{20} \overline{x}_{i}}{20} = 57.6051
그리고 현재 [[표본]]에 대한 전체 [[평균]] \overline{R} 은 아래와 같이 구할 수 있다.
* \overline{R} = \frac{\sum_{i=1}^{20} R_{i}}{20} = 0.354
위에서 구한 [[CL]]과 \overline{R}를 이용해 아래와 값이 관리한계선 [[UCL]]과 [[LCL]]을 구할 수 있다.
([[부분군]] 크기가 5일 경우 A_{2} = 0.577 )
* UCL=CL + A_{2} \overline{R} = 57.8169
* LCL=CL - A_{2} \overline{R} = 57.3933
{{:xbar-r_chart_example-01.png|}}
----
* [[관리도]]
* [[관리도 계수]]
* [[관리도 계수표 (KS A 3201)]]
{{tag>관리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