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data for this page
- print(*objects, sep=' ', end='\n', file=sys.stdout, flush=False)
예제 1
- 입력
print('Hello Python!') print("Nice to meet you.") print('Hello "Python"') print("Hello 'Python'") print('Hello', 'Python!') print('Hello' + 'Python!')
- 출력
Hello Python! Nice to meet you. Hello "Python" Hello 'Python' Hello Python! HelloPython! #공백이 없음
- 부가 설명
- print함수로 출력할 문장(문자열)은 ‘ ’ 또는 “ ” 로 감싸야 한다.
- 문자열 속에 ' 기호가 있는 경우에는 “ ”로
- “ 기호가 있는 경우에는 ‘ ’를 사용하면 편리하게 출력할 수 있다.
- 콤마(,)로 문자열을 나열할 경우 공백(기본값)이 자동으로 추가 된다.
- 더하기(+) 기호로 문자열을 공백없이 연결할 수 있다.
예제 2
- 입력
print('I like Python. \ But I do not like Ruby.') print("""I like Python. But I don't like C.""") print('''I like Python. But I don't like C.''')
- 출력
I like Python. But I do not like Ruby. (개행 없이 연결됨) I like Python. But I don't like C. I like Python. But I don't like C.
- 부가 설명
- 긴 문자열은 \ 기호로 사용하여 여러 줄에 작성할 수 있다.
- 개행(줄바꿈), 공백, 특수기호(이스케이프 문자)를 포함하여 입력한 그대로 화면에 출력하기 위해서는 ‘’‘ ’‘’ 또는 “”“ ”“” 기호를 사용하면 된다.
예제 3
- 입력
print('Hello', end=' ') print('Python') print('Hello', end='&&&') print('Python') print('Hello', 'Python', sep='#') f = open('dump.txt', 'w') print('Hello Python', file=f) f.close() import sys print('Hello Python', file=sys.stderr)
- 출력
Hello Python Hello&&&Python Hello#Python (dump.txt 파일에 문자열이 저장됨) Hello Python
- 정리
- end 인자를 사용하면 print함수 마지막 효과를 변경할 수 있다. (기본값은 개행)
- sep 인자를 사용하면 콤마로 구분된 문자열을 다르게 결합할 수 있다. (기본값은 공백)
- file 인자를 사용하면 출력 결과를 파일, 표준에러처리로 보낼 수 있다.
예제 4
- 입력
print('My mother\'s house') print('\', \", \\, \a, \t, \n')
- 출력
My mother's house ', ", \, , ,
- 정리
- 이스케이프 문자(Escape character)는 \문자를 사용하여 출력한다.
- (\n 공백, \t 탭키,
\, \‘, \“ 등)
예제 5
- 입력
i = 123 f = 3.14 s = 'Hello' print('i: %d, f: %f, s: %s' % (i, f, s)) print('i: %9d, f: %5.2f, s: %7s' % (i, f, s)) print('i: %09d, f: %05.2f, s: %7s' % (i, f, s)) print('i: {}, f: {}, s: {}'.format(i, f, s)) print('f: {1}, i: {0}, s: {2}'.format(i, f, s)) print('f: {ff}, i: {ii}, s: {ss}'.format(ii=i, ff=f, ss=s)) a = 'apple' b = 'banana' print('a is {0[a]}, b is {0[b]}'.format(locals())) print('a is {a}, b is {b}'.format(**locals()))
- 출력
i: 123, f: 3.140000, s: Hello i: 123, f: 3.14, s: Hello i: 000000123, f: 03.14, s: Hello i: 123, f: 3.14, s: Hello f: 3.14, i: 123, s: Hello f: 3.14, i: 123, s: Hello a is apple, b is banana a is apple, b is banana
- 정리
- % 기호를 활용하여 변수값을 출력할 수 있다. (오래된 방식)
- (%d 정수, %f 실수, %s 문자열)
- %5.2f처럼 출력하는 모양을 지정할 수 있다. (총 자릿수 5, 소수점 2자리까지)
- format 함수를 사용하면 좀 더 다양항 방식으로 출력을 할 수 있다.
- (format 함수에 대한 내용은 워낙 방대하여 나중에 따로 글을 쓰겠습니다. 지금은 예문으로만 감상해주세요. 설명하자면 긴데 사실 format함수도 쓰는 기능만 주로 쓰기 때문에 꼭 모든 것을 알아야할 필요는 없습니다.)
예제 6
- 입력
print('Hello Python!'.center(20)) print('Hello Python!'.rjust(20)) print('Hello Python!'.ljust(20)) print('Hello Python!'.zfill(20)) print('hello python!'.capitalize()) print('hello python!'.upper())
- 출력
Hello Python! Hello Python! Hello Python! 0000000Hello Python! (앞쪽 여백을 0으로 채움) Hello python! (첫글자만 대문자로) HELLO PYTHON! (대문자로 변경)
- 정리
- 문자열 객체의 다양한 메소드(함수)를 활용하여 출력 모양을 변경할 수 있다.
- (메소드 이름만으로도 동작을 짐작할 수 있기에 자세한 설명은 생략)
예제 7
- 입력
print(123); print(3.14) print(True) print("3 * 2 = ", 3 * 2) print(list(range(1, 10)))
- 출력
123 3.14 True 3 * 2 = 6 [1, 2, 3, 4, 5, 6, 7, 8, 9]
- 정리
- 정수, 실수, 불 자료형을 문자열로 변경할 필요없이 바로 출력할 수 있다.
- (명시적으로 변경하기 위해서는 str()함수를 사용하면 됨)
- 수식과 리스트 같은 복잡한 내용도 쉽게 출력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