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eta data for this page
  •  

문서의 이전 판입니다!


품질관리특론-졸업고사-2012년09월

1번 문제

두 라인에서 생산되는 부품의 치수의 평균을 비교하고자 한다. 분산은 1로 동일하다고 가정하자. 두 라인 평균의 차이가 1이상 나는 경우를 결정시 오류를 범할 확률을 10%로 하기위해서는 표본을 몇 개씩 추출하여야 하는가? (5점)

2번 문제

회귀분석에서 계산되는 잔차(Residual)는 어떻게 계산되며 이는 어떤 분석에 사용되는가? (5점)

3번 문제

실험계획법에서 Confounding(교락)의 개념을 설명하라. (5점)

4번 문제

분산분석에서 실험조건에서의 등분산가정이 성립되지 않는 경우 어떻게 하여야 하는가? (5점)

5번 문제

$2^{k}$요인실험(k=3)에서 1/2 일부실시를 하고자 한다면 어떤 조건에서 실험하여야 하는가를 어떻게 정하는지를 설명하라. (5점)

6번 문제

7번 문제

측정기의 Repeatability and Reproducibility를 구하라. 선형성편의를 분석하라 (15점)

부품 측정자 참값 측정치
1 1 20 21.1
1 1 22.0
1 2 25.9
1 2 22.7
2 1 30 30.6
2 1 31.0
2 2 28.5
2 2 33.0
3 1 50 51.2
3 1 51.1
3 2 48.3
3 2 ???

8번 문제

품질기능전개(Quality Function Deployment) 개념을 설명하라. (5점)

9번 문제

Kano의 3가지 품질의 특징을 설명하라. (5점)

10번 문제

제품의 치수에 대한 관리를 위해 시간당 제품 25개를 무작위 선택하여 치수를 측정하여 관리도를 작성하고자 한다고 한다. 치구에 대한 규격은 80+-1mm 이다.

1) 공정이 안정된 상태에서 치수는 평균이 80.5이며 분산이 1인 정규분포를 따른다고 알려져 있다. 이를 바탕으로 $\overline{X}-S$ 관리도(3 시그마관리도)의 관리한계선을 구하라. (10점) p 관리도의 3 시그마 관리한계선을 구하라. (5점)

2) 1)에서 구한 관리한계선을 적용하는 경우 공정이 안정된 상태에서 나온 표본으로부터 계산된 $\overline{x}$가 관리한계선을 벗어날 확률(5점), 표본 불량률관리한계선을 벗어날 확률(5점) 얼마인가? $\overline{x}$ 관리도의 안정상태에서 ARL은 얼마인가? (5점)

3) 1)에서 구한 관리한계선을 적용하는 경우 공정평균이 81로 증가한 경우 표본의 $\overline{x}$가 관리한계선을 벗어날 확률은 얼마인가? (5점)

11번 문제

한 제품에는 공정이 안정된 상태에서 결점수는 포아송분포(평균 3개)를 따른다고 한다. 이의 관리를 위해 매번 5개의 제품을 검사하여 평균결점수를 타점하고자 할 때의 관리한계선을 구하라. (5점)

12번 문제

계수 1회 선별형(Rectifying Inspection)에서의 AOQL의 의미를 설명하라 (5점)